본문 바로가기

낙원을 찾아서/창문저편의 무지개211

서스펜션이란? 1. 서스펜션의 역할 자동차에 있어서 허리 또는 관절이라고 불리는 서스펜션은 어떤 의미에서는 엔진이나 그 외의 주행장치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지도 모릅니다. 스프링과 쇼크압쇼바로 대변되는 서스펜션의 좋고 나쁨은 자동차의 이미지 그 자체를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차가 발명된 이래 오랜 세월동안 메이커들은 좋은 서스펜션을 만들고자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였으나 그 궁극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이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었으며 그리고 앞으로도 크게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1. 조종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양호한 핸들링 특성을 살리고 2. 운전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조안성으로 줄여서 부르는 조종안정성은 조종성과 안정성을 합한 말인데 승차감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함께 사용되.. 2010. 11. 26.
터보차져와 슈퍼차져 차량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 흡배기장치를 튜닝하기도 하는데 그중 유명한 것이 터보차져와 슈퍼차져다. 보통 가솔린 차량보다는 디젤에 많이 장착하는데 이유는 가솔린은 스파크점화식이고 디젤은 압축착화식이기 때문이다. 스파크점화식은 연료와 공기를 압축한 후 스파크를 일으켜 폭발시키는 것을 말하고 압축착화방식은 공기를 압축하여 고온상태로 만든 후 연료를 분사하여 자연착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디젤의 경우 압축착화방식이기 때문에 터보나 슈퍼와 궁합이 더 잘 맞는 다고 한다.(가솔린은 고RPM으로 갈 경우 노킹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터보와 슈퍼는 기본적으로 흡입시 더 압축된 공기를 엔진에 공급하는 것은 같다. 하지만 터보는 배기가스를 이용해서 터빈을 돌리고 슈퍼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터보.. 2010. 11. 25.
우수성을 구분짓는 차량의 구동방식(후륜FR/전륜FF) 출처 : http://grasige7.egloos.com/1455766 후륜구동방식 FR은 Front Engine Rear-wheel drive의 약자이다. 운동성(조향감각)이 좋고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주로 대형차량과 고급차량에 많이 쓰인다. 요즘은 FF의 스포츠카도 많이 나오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스포츠카는 FR'이라는 개념이 있을 정도로 Performance Car 타입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이기도 하다. 전륜구동방식 FF는 Front engine Front-wheel drive의 약자이다. 즉 엔진이 앞에 있으며 앞바퀴 굴림식으로 굴러가는 자동차를 말하는 것이다. 차체의 소음이 적고 연비가 좋으며 뒷바퀴로 이어지는 구동축이 없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중, 소형차에서 많이 사용되고.. 2010. 11. 25.
자동차 구동방식 분석 (FF, FR, FC, MR, RR, AWD) 출처 : http://grasige7.egloos.com/1455746 FF란 뜻은 앞쪽에 엔진이 있고, 앞쪽 바퀴가 구동하는 차량을 말합니다!! FR이란 뜻은 앞쪽에 엔진이 있고, 뒷쪽 바퀴가 구동하는 차량을 말하죠~ 자세하게 그림으로 보면 FF식 차량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차량이 이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뉴EF소나타, SM5, 에쿠스, 등등 수 많은 차가 이 방식을 택하고 있지요! 그와 반대인 FR식 차량은 우리나라에 엔터프라이즈, 체어맨, 포텐샤, 프린스, 브로엄등 차량이 후륜구동인 차량입니다!!!! FF: Front Engine Front Wheel Driven 차앞의 보넷쪽에 엔진있고 앞의 두바퀴를 굴려서 가는 형식입니다. 가장보편화되어있습니다. 가격싸고 생산되는 자동차中 가장 큰 비율.. 2010. 11. 25.
로터리 엔진에 대하여 출처 : http://grasige7.egloos.com/1455732 Mazda RX-8 로터리 엔진 다음은 과학동아 기사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로 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가 속속 등장해 기존의 피스톤 엔진 차량을 위협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피스톤 엔진이 자동차 엔진을 꽉 잡고 있지만, 그 아성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1960년에도 피스톤 엔진의 맞수가 나타나 그 아성을 거의 무너뜨린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피스톤 엔진은 르느아르, 니콜라우스 오토, 고트립 다이믈러 등 여러 기술자들에 의해 개량이 거듭되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동차 엔진의 표준이 돼버렸다. 특히 미국의 헨리 포드사가 자동차 대량 생산 .. 2010. 11. 25.
오토미션 관리 이제는 대부분의 승용차 운전자는 자동변속기(오토미션)를 장착하고 출고를하는게 대세이다.이러한 시장상황에 원인 불명의 급발진 사고가 자주 보도되면서 오토미션 관리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오토미션"에 대한 올바른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오토미션의 원리 = 수동변속기는 엔진과 미션이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반면에, 오토미션은 엔진의 동력을 중간 매개체인 오일(오토오일)을 두고 이 오일의 압력으로 미션으로 전달하게 된다. 오토오일은 유체이기 때문에 큰 동력이 급하게 전달되어도 즉각 반응이 되지 않고 한박자 느리게 반응된다. 이런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 "토크컨버터"라는 부품이다. 토크컨버터는 엔진의 동력을 받아 오토오일을 압축을 한다. 이 압축된 오일의 힘으로 인해서 미.. 2010. 11. 19.
안전운행 도움장치 현재 자동차에는 안전을 위한 여러가지 장치가 장착되어 출고되고 있다. 그중 대표격인 안전벨트, ABS, TCS에대해 올바르게 이해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안전벨트= 자동차 산업의 역사 동안, 가장 널리, 그리고 가장 많은 생명을 구한 안전장치를 꼽으라면, 누구라도 "안전벨트"를 1순위로 떠올릴 것이다. 반세기전 볼보社에서 최초로 개발, 출시한 "3점식(한쪽어깨와 양쪽허리부위 고정방식) 안전벨트는 현재에는 자동차 대부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형 사고에도 인명 피해가 적었던 경우는 승객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었다 라는 보도를 종종 접할 수 있다. 그만큼 안전벨트는 가장 기초적이면서, 확실한 안전장치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정확하게 착용하지 않는 경우 그 기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2010. 11. 19.
쓰리몬(미츠도모에) 일본에서 가장 닮지 않은 세 쌍둥이가 존재하는 마루이 집안. 첫째인 미츠바는 난폭한 정복자 기질의 새디스트. 둘째인 후타바는 약간 야한 걸 밝히는 운동 바보. 셋째인 히토하는 음침한 데다 어딘가 수상쩍은 분위기가 폴폴 풍기는 소녀. 이 세자매의 아기자기 하면서도 요절복통할 학교생활이 주된 스토리로 보는이를 즐겁게 해준다. 보다 보면 두 사람이 다른 주제로 이야기 하는것을 서로 같은 주제로 이야기 하는 것으로 혼동하는 신이 자주 나오는 것이 조금 아쉽긴 하지만 캐릭터들의 귀여움이 모든것을 커버한다. 간만에 가볍게 웃으며 재미있게 볼수 잇는 에니인 것 같다. 2010.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