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AND ALONE COMPLEX1264

이번 대선은 하나마나 이재명이 당선 될 듯 국민의 힘 내부가 시끄러운 걸 보면 이번 대통령 선거를 이길 생각은 없는 것 같아. 솔직히 단합해서 붙어도 탄핵 직후여서 어떤 후보를 내도 참패는 예정된 상황인 거지. 이긴다기보다는 보유하고 있는 정치인들이 후보로 나와서 직접 참패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게 배려하고 패배의 책임을 한덕수가 지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 같아. 질 수밖에 없다면 잘 지는 것도 방법이니까그래서 이재명이 대통령 되는 건 기정사실일 것 같은데 이재명 정부는 자국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트 정부와 여러 협상을 하게 될 거야. 주한미군 분담금, 한미 FTA 재협상 등 굵직한 사안들을 협상하게 되겠지. 국민의 힘이 한덕수를 후보로 낸 이유 중 하나가 미국통인 것도 있을 거야. 한국 내부에 수많은 문제들이 산재해 있지만 미국과의 협상 우선도.. 2025. 5. 11.
2001년 겨울 그땐 그랬지 2025. 4. 29.
중국과 북한의 전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이 중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어. 트럼프 같은 스트롱맨은 자신의 권위가 흔들리는 것을 좌시하지 못하는 성향이 있어. 관세를 부과했을 때 저자세로 나오면 적당히 협상하는 것을 원했을 건데 그런 그림이 나오지 않는다면 더 강력한 카드를 꺼낼 수 밖에 없어무력시위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있는데 미국이 직접 나서지는 않을거라 생각해. 미국 대신 중국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대만은 중국이 무력시위로 압박하는 것을 견디기도 버겁기 때문에 중국을 향한 무력시위 할 여력이 없어. 뜬금 없다 생각하겠지만 북한이 미국의 중국 압박 카드가 될 수 있다 생각해북한의 핵은 중국을 향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어야 중국이 용인할 수 있어. 미국은 잔인한 인권유린 집단인 북한을 용인할 수 없어. 그래서.. 2025. 4. 17.
제7공화국 선진대국 시대를 연다 이 책은 "구체화되고 있는 홍준표의 꿈"이라 생각해. 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여파로 참패가 예정된 상황에서 홍준표는 출마했었어. 그때도 양원제, 중임제 개헌 및 지방자치제 강화, 사법 시스템 개혁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거로 기억해. 그리고 이 책에는 상당히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설명하고 있어. 내가 사법시스템이나 행정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서 이 책대로 돌아갈지는 잘 모르겠어그런데 이렇게 바꾸면 행정부와 국회의 충돌이 줄어들고 사법시스템이 정상화될 수도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비전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강력하게 어필하고 있어. 이 책을 보면 홍준표를 지지하지 할 수밖에 없을 것 같아.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라는 갑작스러운 상황으로 짧은 준.. 2025. 4. 10.
YOON AGAIN "> 윤석열 대통령이 12.3 계엄에 대한 법정투쟁 의지를 표명한다면 지지할 거임. 그리고 판결 결과에 승복할 거임. 이것이 우파의 가치에 맞는 투쟁이라 생각함 2025. 4. 6.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보류해야 한다 난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을 신속하고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 생각해. 12월 3일 계엄으로 수집한 증거가 윤석열 대통령이 주장했던 계엄 명분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지가 너무 궁금해. 검사, 법무부 장관을 거쳤던 사람이 근거 없이 계엄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생각하지는 않아. 발표한 내용을 보면 반국가세력이 선거를 조작하고 국정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를 했다고 하는데 그런 것들을 입증하는 삶을 살았던 사람이 과도한 무리수를 뒀다는 건 이해하기 힘들지헌법재판소의 8:0이라는 판결에 불만은 있지만 따르는 것이 맞으니 거기에 대해서 뭐라 하지는 않겠어.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으로 어떤 자료들을 수집했고 지금 한국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고 싶어. 물론 이것이 윤석열 대통령이 던진 무.. 2025. 4. 5.
다가올 한국의 버블붕괴는 일본의 버블붕괴와 다를 것이다 일본의 버블붕괴는 일본인들에게 큰 충격을 줬어. 앞으로 한국에도 비슷한 것이 올 거고 많은 참조가 될 거라 생각해. 그런데 한국과 일본의 버블붕괴에서 큰 차이점이 있어. 첫 번째는 일본의 버블은 대부분의 일본인들 특히 젊은 층도 수혜를 본 것이고 두 번째는 버블붕괴 후 세계적인 신자유주의 지속 여부야일본은 버블 때 기업들이 면접자들에게 용돈을 주며 면접을 보게 했고 입사 시 해외로 연수 명목으로 해외여행을 보내줬어. 젊은 층들도 버블의 수혜를 확실히 보고 있었던 거지. 지금 한국의 젊은 층들은 취업을 준비하다 포기하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고 SNS에서는 죽겠다고 난리들이지. 당시 일본과 분위기가 너무 달라. 버블이 터지기 전부터 이런데 터지면 더 큰 곡소리가 울려 퍼질 거라 생각해여태까지 달러를 찍어내며.. 2025. 4. 5.
금은 기축통화 자리에서 내려오게 될 것이다 인류에게 금은 오랜 기간 기축통화로 여겨지고 있었어. 달러가 확고한 기축통화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지금도 금은 관습적으로 기축통화처럼 여겨지고 있어. 그래서 미국은 달러 패권을 지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금을 견제해 왔지. 안전자산이라 인플레이션에 맞게 금값도 올라가야 했지만 미국의 집중 견제로 금값은 인플레이션이 반영되지 않고 있었다는 경제학자들의 의견이 있어그랬던 금값이 달러 패권이 흔들리면서 급격하게 오르고 있지. 나는 지금 금을 보유하고 있는 세력들이 금을 털어 낼 때까지 금값이 오르고 그 후로는 폭락하면서 금이 기축통화 자리에서 완전하게 내려오게 될 거라 생각해. 이유는 기술의 발달로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일반화되면 금의 상징적 의미도 사라질 거라 생각하기 때문이야. CBDC가 일반화되면.. 2025.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