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 ALONE COMPLEX1254 다극화 된 국제사회에서 한국은 줄타기 하면서 신뢰를 줘야 한다 구한말 조선은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파악하지 못해 시대의 흐름에 뒤쳐졌었어. 그래서 열강들이 조선의 소유권을 놓고 다투고 있을 때 수동적으로 끌려다니다 주권을 양도했지. 앞으로 국제정세는 미국의 독보적인 단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급변하게 될 거야. 우리는 구한말의 실수를 번복하지 않기 위해 바뀌는 국제정세를 잘 파악하고 행동해야 해 달러 패권이 무너지면 나토에서 미국이 나오게 될 것이고 중동은 새로운 군사동맹으로 묶이게 될 거야. 중국, 러시아도 독보적인 군사동맹 체제를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될 거고 그로 인해 세력이 겹치는 몇몇 곳에서 중립지역이 생기게 될 거야. 한국은 그런 중립지역에 포함될 거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나토가 러시아와 인접한 우크라이나를 나토에 편입시키기 위해 마이단 혁명을 적극적으로.. 2023. 1. 15. 내가 생각하는 주인과 개의 서열문제 루루 입양 후 개 훈련에 관련된 유튜브 영상들을 찾아서 시청하고 있어. 예전에는 굳이 찾아보는 편은 아니었는데 루루 입양 초기에 고생을 했더니 생각나면 찾아보는 편이 됐어. 유명한 사람들 동영상 위주로 보고 있는데 설채현이라는 사람이 개와 서열에 대한 영상을 보면서 의문에 빠졌어 서열 이론은 과거 각기 다른 집단에 소속되어 있던 늑대들을 한 곳에 모아놓고 관찰한 결과 가장 강한 우두머리가 자원의 우선권을 가지는 것을 보고 만들어졌다고 해. 하지만 이 이론은 각기 다른 집단에 소속되어 있던 개체들이 임의로 포획해서 모아 놓은 것이라는 오류가 있었어 자연 상태의 늑대들은 비교적 규율이 자유로운 편이라고 해. 생각해보면 초롱이와 루비를 키웠을 때는 서열이라는 것을 생각해본 적이 없었거든. 그냥 주인이니까 따르.. 2022. 12. 16. 러시아에 애국주의 열풍은 불 것인가? 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 중립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생각하는 사람이야. 우크라이나가 나토와 러시아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다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하지 않았을 거야. 물론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추진했다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한 것이 잘못이긴 해 그런데 미국이 쿠바에 소련의 핵미사일 유입을 막기 위해 핵전쟁을 불사하고 이라크의 대량학살 무기를 막기 위한 명분으로 선제공격한 전례에 비춰보면 러시아의 행동이 무조건 잘못됐다 규정하기도 어려워. 국제사회는 핵전쟁이 무섭기도 하고 명분도 모호한 상황이라 우크라이나에서 발을 빼게 될 거라 생각해 이 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비난받았던 러시아 내부의 분노가 폭발하고 강력한 애국주의의 물결이 나타나게 될 거라 생각해. 러시아는 이미 그런 세력을 .. 2022. 12. 3. 소신 발언 한다. 통일하면 나라 망한다 남북통일은 북한을 수복해야 할 영토로 헌법에 명시하고 있는 한국에서 추진해야만 하는 일이야. 그래서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통일의 중요성을 주입하고 있어. 하지만 남북통일이 되는 순간 한국은 망할 거야. 꼭 해야만 하는 일인데 그걸 해서 나라가 망한다면 헌법을 바꿔야 하는 것 아닐까? 일단 남북통일이 왜 한국에게 재앙인지 이야기해볼게 갑자기 북한의 정권이 붕괴되어서 통일이 되었다 가정해보자. 독일이 이런 통일 과정을 거쳤지. 동독과 서독의 경제력 차이는 지금의 남한과 북한의 차이보다 적었지만 독일은 통일의 후유증으로 한동안 유럽의 병자라 불렸어. 남북통일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거라 주장하는 사람들은 북한의 노동력을 싸게 이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통일되면 북한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해 과거 한국이 수입품을 국.. 2022. 12. 3. 야매 미용 후 한컷 그냥 루비처럼 바리깡으로 쭉 밀어버리면 좋겠다 2022. 11. 30. 유기견은 확실히 다르더라 유기견이었던 루루를 입양한 지 5개월이 지났어. 루루 전에 토이푸들 두 마리를 20년 정도 키웠었고 나는 개를 더 키우고 싶지 않았는데 다른 가족들이 멋대로 유기견을 입양하는 바람에 루루를 입양하게 됐어. 입양 전에도 유기견에 대한 편견이 있었고 유기견을 키우면서 그 편견은 객관적인 시각으로 변해갔어 강아지 때부터 키우는 것과 유기견 입양이 어떻게 다른지 체험해보니 유기견을 적응시키는 것이 어떤 면에서 어렵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고 강아지 때부터 키우는 것에 비해서 어떤 것들을 포기해야 하는지도 알게 됐어 개를 처음 키우는 사람은 유기견을 입양하지 않는 것이 맞고 개를 키웠던 사람이라도 강아지부터 키우는 것이 서열을 잡는 것도 쉽고 원하지 않는 버릇을 고치는 것도 쉬워. 특히 개를 키웠던 사.. 2022. 11. 18. 이태원 사태를 보며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생각한다 이태원 사태를 보면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알 수 있어. 일본은 자연재해가 잦아서 생각지도 못한 상태에서 사망자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 편이야. 이런 경우 언론의 주도하에 국민들은 차분하게 사고를 수습하고 비슷한 사고가 터졌을 때 보다 잘 대처하기 위한 분석을 하고 매뉴얼을 보완하지 한국은 언론이 앞장서서 희생양을 찾는데 혈안이 되지. 언론이 앞장서고 있지만 사회지도층 분들이 조종하는 거는 다 아는 거고. 이태원 사태가 일어나기 전 방송사에서 할로윈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사전 분위기 조성이 있었고 주변 상인들도 경찰들이 과도한 통제로 축제의 분위기가 손상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았을 거야 여기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자세한 것은 내가 알 수는 없어. 일본의 경우 아날로그에 얽매여 있고 행정이 답답한 면이 .. 2022. 11. 3. 좋은 개란 어떤 개인가?2 예전에 썼던 '좋은 개란 어떤 개인가?' 내용을 요약하자면 각각의 목적견들이 요구하는 품성과 기질은 다르고 목적견이 요구하는 품성과 기질이 일반인들이 원하는 그것과 일치하지 않는다. 나에게 맞는 품성, 기질을 가지고 있는 개가 좋은 개다. 미견의 기준으로 개를 평가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개를 고를 때 건강, 품성, 기질 이 세가지만 보면 된다로 요약할 수 있는 것 같아 내가 이 글을 2013년에 썼었으니까 그 뒤로 루비도 세상을 뜨고 유기견도 본의 아니게 입양하게 되면서 추가할 내용들이 생겨서 끄적거리게 됐어 나는 개를 산책시킬 때 개줄을 통해서 개와 소통을 한다 생각했거든. 줄을 통해서 개가 가고 싶은 곳과 내가 가고 싶은 곳을 조율하고 그러면서 아이컨택을 통해 서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는 것을 최종적으.. 2022. 10. 26.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