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원을 찾아서/이름없는 별 하나567

일제시대 예송논쟁 1919년 복제논쟁 만화.manhwa 출처 : http://www.ilbe.com/5601600849 일제에 나라를 뺏긴 상황에서도 저딴거로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던 당시 사람들의 수준이란.... 뭐 요즘처럼 대부분 대학 나온 사람들이 1년 동안 세월호에 매달리는 것 보면 이 나라는 발전이 없는 것 같다. 그냥 노답 2015. 4. 7.
무상복지에 대한 단상 흔히 복지라고 하면 공산주의 혹은 사회주의를 떠올리게 되는데 사실 자본주의 체제 역시 복지를 중시하며 성장하고 발전해 왔다. 냉전시절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는 반목 했지만 서로의 시스템을 연구하고 장점은 받아들이며 진화를 거듭했다. 그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단점인 도태되는 약자를 배려할 실마리들을 공산주의 체제에서 찾고 발전시켜 왔다. 덕분에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가 폐기처분 된 이후에도 순수한 자본주의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국가 별로 자신들의 상황에 따라 자본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 시스템의 장점들을 믹스해서 최적의 배합을 찾아가며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이 복지국가를 지향해야 한다면서 보편적 복지가 이슈화 되고 그것을 지향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런 사람들이 말하는 롤모델이 스웨덴과.. 2015. 3. 24.
노무현은 왜 자살을 했는가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s://bgmstore.net/view/5bb0d0ba352039d227077690/%EC%9D%BC%EB%B2%A0%EC%86%A1%20(ver.%20%ED%95%A9%EC%A3%BC) 출처 : http://www.ilbe.com/4974259849 2015. 3. 4.
제사와 차례에 대한 단상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x78e 제사와 차례는 유교의 종교적 행사다. 주기적으로 집안 별로 이러한 종교적 행사를 왜 하게 되었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나름대로 생각해 보고 앞으로 바뀌었으면 하는 점을 주절거려 볼까한다. 조선시대는 붕당정치로 대표된다. 왕을 중심으로 각 붕당들이 서로를 견제하며 왕을 보필하는 체제로 돌아가던 시스템 이였다. 이런 붕당은 집안과 집안의 연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선은 경제체계도 단순하고 공업, 상업을 공무원에 비해서 천시 하였으므로 입신양명 하여 집안에 일원으로서 집안에 보탬이 되는 것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았다. 집안의 힘은 곧 출세와도 직결되는 것 이였고 그렇기 때문에 집안의 단합과 결속력을 위해 유교적인 종교행사를.. 2015. 2. 18.
일펌>일베나이트 출처 : http://www.ilbe.com/5292565740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mnCU 전두환을 도왔다는 이유로 518훈장이 취소되었던 배승일씨 전두환이 배승일씨를 전남도청에 급파하여 뇌관해제를 않았다면 익산 참사 몇배의 큰 사고가 벌어졌을것이라고 한다 2015. 2. 14.
광우뻥 선동에 대한 요약 공중파의 광우뻥 선동에 대한 반박이고 이것에 대한 반박은 아직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 안하는 것인지 못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방송에 대한 파급효과가 컷던 만큼 해당 방송사들은 공개토론회 등으로 오해가 있는 부분은 풀고 어디 까지가 진실이고 어디 까지가 거짓인지 밝혀야 할 책임이 분명히 있다. 일단 동영상에 대한 요약을 잘 해놓은 글이 있어서 퍼왔다. (출처 : http://www.ilbe.com/5290889092) 1. 광우병은 반추동물(되새김질 하는 소, 양 등)이 반추동물로 만든 사료를 먹을때 생김 Ex) 소가 소로 만든 사료를 먹거나, 양이 양으로 만든 사료를 먹거나 하는 경우 2. 그래서 미국은 1997년에 아예 광우병의 원인이 되는 '동물성 사료' 자체를 금지시킴 3. 그래서 미국산 쇠고기 .. 2015. 2. 14.
흉노 유물 자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478458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4673942 2015. 1. 21.
만주국 자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3172046055&code=960201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3032501032530074002 2015.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