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미국이 주도하고 있었지만 중국의 딥시크로 인해 다극화로 급격하게 선회하게 될 거야. AI 기술주로 자금이 몰렸고 그것을 바탕으로 AI 기술자들에게 고액의 연봉을 주고 있었지만 딥시크가 오픈소스를 표방하면서 각각의 국가, 기업들이 저비용, 고효율로 독자적인 AI를 구축할 여건이 형성된 거지
그동안 AI 관련 기술주들이 과열됐다는 말들이 많았고 딥시크 발표로 인해 조정상황이 지속된다면 살아남지 못하는 기업들도 속출할 것이고 이런 기업들 중 알짜 기업들을 인수하기 위한 눈치싸움이 벌어질 거라 생각해
한국도 올해부터 정부차원에서 전자정부에 사용될 AI 구축에 돌입하게 될 거라 들었는데 오픈소스로 딥시크를 공개하면서 계획에 많은 수정이 있을 것 같아. 그와 맞물려 미국에서 일하던 AI전문가들도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다면 본격적인 한국형 AI 구축이 진행될 거야
버블붕괴, 민영화, AI의 발전. 이것들이 어떤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게 될지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서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는 않을 것 같아
'낙원을 찾아서 > 이름없는 별 하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중국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0) | 2025.02.02 |
---|---|
한국에 극우는 있는가? (0) | 2025.01.30 |
우파 내부에서 혁명을 한다고 깝죽대는데 (1) | 2025.01.19 |
미국이 원했던 햇볕정책 (3) | 2025.01.01 |
펌글>쉽게 설명한 악보 코드 조옮김 (0) | 2024.12.25 |
댓글